티스토리 뷰
목차
여행 전에 꼭 확인해야 할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
해외여행 또는 국내 비행기 탑승 시,
가장 많이 검색하는 물품 중 하나가 ‘보조배터리 반입 가능 여부’입니다.
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제품은 화재 위험으로 인해
항공사 및 국가별로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죠.
2025년 기준, 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
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을 최신 정보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.
✅ 2025년 보조배터리 반입 기본 원칙
항공기에 반입 가능한 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(mAh) 용량에 따라 제한됩니다.
📌 반입 가능한 기준 (기내휴대 only / 위탁수하물 X)
용량 (Wh 기준) | 반입 가능 여부 | 비고 |
---|---|---|
100Wh 이하 (~27,000mAh) | ✅ 가능 (허가 불필요) | 최대 2개까지 권장 |
100~160Wh (~27,000~43,000mAh) | ✅ 가능 (항공사 승인 필요) | 일부 항공사 불가 |
160Wh 초과 | ❌ 반입 금지 | 산업용 특수장비 제외 |
✔️ 위탁수하물에는 절대 불가! 반드시 기내에 휴대해야 합니다.
✔️ 대부분의 일반 보조배터리(10,000mAh~20,000mAh)는 문제없이 반입 가능하지만,
용량 표기가 없으면 반입 거절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.
✅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유의사항
항공사별 반입규정 확인
항공사마다 세부 규정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, 기본 원칙은 동일합니다.
아래는 대표 항공사들의 기준 요약입니다.
✈ 대한항공 / 아시아나항공
- 100Wh 이하: 제한 없이 반입 가능
- 100~160Wh: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
- 용량 표시 없는 배터리: 반입 불가 가능성 있음
✈ 제주항공 / 진에어 / 티웨이 등 저비용항공사
- 100Wh 이하만 반입 권장
- 저가형 보조배터리 중 용량 표기 없는 제품은 주의
- 객실 승무원 요청 시 확인 받아야 할 수 있음
✈ 외항사 (ANA, JAL, 싱가포르항공 등)
- 국제 기준을 따르나 일부 2개까지로 수량 제한
- 온라인 체크인 전 보조배터리 신고 요구하는 곳도 있음
📌 항공사 홈페이지 > 수하물/위험물 안내 메뉴에서
반입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✅ 보조배터리 반입 시 체크리스트
- ✅ 용량 확인: 제품에 mAh 혹은 Wh 표기 확인
- ✅ 기내 휴대 필수: 위탁수하물 절대 금지
- ✅ 케이스 보관: 충전 단자 보호 필수
- ✅ 예비 배터리는 수량 제한: 보통 2개 이하 권장
- ✅ 고장/부풀음 있는 배터리는 무조건 반입 불가
✔️ 특히 해외여행 시,
보조배터리 때문에 보안 검색에서 제지당하는 사례가 많으니
출국 전에 제품 라벨/용량을 꼭 확인하세요.
결론: 여행용 보조배터리는 ‘작고 안전한 것’이 최고
2025년에도 여전히 보조배터리는 기내에만 휴대 가능하며,
용량이 크거나 불분명한 제품은 제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여행을 자주 다닌다면,
- 10,000~20,000mAh 사이 용량
- KC인증, 용량 표기 확실한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.
📌 여행 전에 보조배터리도 여권처럼 필수 확인 품목입니다.
출국 전 마지막 짐 체크리스트에 꼭 넣어두세요!